Surprise Me!

[뉴스특보] 경찰-국과수 합동감식 종료…'재난의료 역량' 평가는?

2022-11-01 0 Dailymotion

[뉴스특보] 경찰-국과수 합동감식 종료…'재난의료 역량' 평가는?<br /><br /><br />이태원 대형 압사 참사를 놓고 사전 예방과 사후 대응이 적절했는지,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확한 사고 원인은 어디에 있는 건지, 156명의 사망자가 나온 이유는 무엇인지, 손정혜 변호사 그리고 박수현 분당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와 자세히 짚어봅니다.<br /><br /> 경찰이 수사본부를 꾸려 수사 중입니다. 어제 오후엔 국과수와 합동 감식을 진행했는데요. 경찰 수사,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수사 결과와 함께 정확한 사망원인도 규명이 돼야 할 텐데요. '압사'에 의한 사고다, 이렇게 이야기가 되고 있습니다. '압사'의 의학적 정의가 궁금하고요. 교수님께선 이번 사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대부분이 흉부 압박에 의한 질식사로 보인단 소견이 나옵니다. 이게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인 겁니까?<br /><br /> 좁은 도로에 과밀된 인원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죠. 참사가 발생한 골목, '건축법'을 어긴 부분들이 여럿 보인다고요? 이 부분에 대한 처벌과 책임은 누가 지는 겁니까?<br /><br /> 2005년 일어났던 경북 상주시민운동장 압사사고와 이번 참사가 비슷하단 분석도 있습니다. 상주 압사사고 당시 사망자를 보면 어린이, 노년층, 여성이 많습니다. 이태원 참사에서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두 배가량 많은데요. 그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과밀과 함께 일부 시민이 '밀어, 밀어'라며 고의로 밀었기 때문에 참사가 커졌다는 증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 경찰은 현장 주변 CCTV, 목격자 조사를 하고 있는데요. 당사자 특정과 법적 처벌, 가능할까요?<br /><br /> 참사 당시, 골목 안 가게를 지키는 이른바 '가드'들이 출입을 막았다, 이런 증언도 계속됩니다. 이들에 대해서 구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처벌해야 한다, 이런 목소리도 나오거든요?<br /><br /> 반대로 수많은 시민과 의료진이 즉각 투입돼 CPR을 하는 등, 도움의 손길도 많았습니다. 많은 의료진이 투입됐는데도 사상자가 많았던 건 깔린 사람을 빼내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렸던 것, 그래서 골든타임을 놓쳤던 부분이 크다고 보면 되겠습니까?<br /><br /> 모든 심정지 환자를 살리려다 보니 오히려 빠른 응급 대처가 필요했던 중증 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했다, 이런 지적도 있거든요?<br /><br /> 그렇다면, 이번 참사로 본 이번 참사로 본 국내 응급의료체계,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 혹시, 응급의료 대응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면요?<br /><br /> 사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에서 구멍이 많았습니다. 경찰투입이 너무 적었다, 이런 문제가 나왔고요. 경찰과 서울교통공사는 참사 당일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를 놓고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습니다. 어떤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사고 원인 규명과 함께 생존자와 유가족들에 대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관리도 중요한 문젭니다. 트라우마 치료에선 어떤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인터넷상에서 희생자와 피해자들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게시글들도 논란이 됐는데요. 이럴 경우, 법적 처벌 수위는 어느 정돕니까?<br /><br /> 이번 참사로 CPR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시는 분들 많은데요. 직접 심폐소생술을 해보지 않은 분들이 대다수기 때문에, 섣불리 나서기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. 위급한 상황에서 해보지 않았더라도 심폐소생술을 하는 게 좋습니까? CPR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알려주시죠.<br /><br /> 끝으로요. 사람이 밀집된 지역에서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, 대처 방법도 일러주시죠.<br /><br />#이태원 #압사사고 #합동감식 #재난의료 #응급의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